2022 개정 교육과정
이렇게 달라졌어요

비전

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
주도적인 사람

  • 개정 중점 1

  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
   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
  • 개정 중점 2

    학습자의 삶과 성장을 지원하는
    맞춤형 교육과정
  • 개정 중점 3

    지역·학교 교육과정
    자율성 확대 및 책임교육 구현
  • 개정 중점 4

    디지털·AI 교육환경에 맞는
    교수·학습 및 평가 체제 구축

추진과제

  • 개정 중점 1

    미래 대응을 위한
    교육과정
  • 개정 중점 2

    학습자 맞춤형
    교육강화
  • 개정 중점 3

    현장의 자율적인
    혁신 지원
  • 개정 중점 4

    교육환경
    변화대응지원

추진체계

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 개정

2015 개정 교육과정과
2022개정 교육과정 비교

2022 개정 교육과정, 어떻게 달라졌을까요?

핵심역량 반영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총론 ‘추구하는 인간상’ 부문에 6개 핵심역량 제시
  • 교과별 교과 역량을 제시하고 역량 함양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

※ 일반된 지식, 핵심개념, 내용요소, 기능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총론 6개 핵심역량 개선

    의사소통 역량→ 협력적 소통 역량

  • 교과 역량을 목표로 구체화하고 역량 함양을 위한 내용체계 개선, 핵심 아이디어 중심으로 적정화

역량함양 강화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연극교육 활성화

    (초·중) 국어 연극 단원 신설

    (고) ‘연극’ 과목 일반선택으로 개설

  • 독서 교육 활성화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디지털 기초소양, 자기주도성, 지속가능성, 포용성과 시민성, 창의와 혁신 등 미래사회 요구 역량 지향

소프트웨어 교육 강화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(초) 교과(실과) 내용을 SW 기초 소양교육으로 개편
  • (중) 과학/기술‧가정/정보 교과 신설
  • (고) ‘정보’ 과목을 심화선택에서 일반선택 전환, SW 중심 개편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모든 교과교육을 통한 디지털 기초소양 함양
  • (초) 실과 + 학교 자율시간 등을 활용하여 34시간 이상 편성
  • (중) 정보과+학교 자율시간 등을 활용하여 68시간 이상 편성
  • (고) 교과 신설, 다양한 진로 및 융합선택과목 신설(데이터 과학, 소프트웨어와 생활 등)

안전교육 강화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안전 교과 또는 단원 신설

    (초1~2)「안전한 생활」신설(64시간)

    (초3~고3) 관련 교과에 단원 신설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체험‧실습형 안전교육으로 개선

    (초1~2)통합교과 주제와 연계(64시간)

    (초3~고3) 다중밀집도 안전을 포함하여 체험‧실습형 교육 요소 강화

범교과 학습주제 개선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10개 범교과 학습 주제로 재구조화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10개 범교과 학습 주제로 유지

(초‧중등교육법 개정) 교육과정 영향 사전협의하도록 관련 법 개정

창의적 체험활동

2015 개정 교육과정

  • 창의적체험활동 내실화, 자율활동, 동아리활동, 봉사활동, 진로활동(4개)

2022 개정 교육과정

  •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개선(3개)

    자율‧자치활동, 동아리활동, 진로활동

※ 봉사활동은 동아리 활동 영역에 편성되어 있으며, 모든 활동과 연계 가능